






2022
Images filled with graceless emotions settle down in inner space and time, while the invisible wall of unreality is designed based on individual tendencies, surrounding oneself.
The wall, composed of the accumulation of the past and unconsciousness, gradually solidifies into opacity over time, often mistaken for the shape of an intangible entity during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This opaque maze serves as a path into the abyss, imposing active constraints.
As memories of the past are buried and gradually fade away, the walls continue to be constructed as a result of the chain reaction initiated by the past. Consequently, memories of the bygone past are eroded somewhere along the way.
From inside the wall, one can see everything outside, but nothing is visible from the outside. When a wall is solely projected through light, it is perceived as a real object.
–
기품 없이 스러지는 감정들은 내면의 시공간에서 침전하여 심상을 구성한다. 마음 속 깊은 흔적은 침전물로 자리 잡고 높게 쌓여 간다. 그렇게 생성된 비실재의 보이지 않는 벽은 개인의 성향과 경험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설계되어 자신을 둘러싸는 보호막으로 작용한다.
벽은 과거와 무의식의 누적으로 형성되며 시간이 흐를수록 견고하고 불투명해 진다. 개인은 사회 관계 속에 실체가 있는 듯한 허상으로 보여 벽이 존재한다고 착각한다. 시간의 중첩은 여러 갈래의 벽을 생성해 심연의 길로 이어진 미로가 만들고 무의식적으로 그 속에 가둔다.
과거에 갇힌 동안, 기억들은 점차 사라지고 새로운 기억들이 연쇄적으로 쌓이면서 벽은 끝없이 축조된다. 소멸된 기억들은 어딘가에 침식되어 잊혀진다.
벽 내부에 갇힌 개인은 세상을 모두 바라볼 수 있지만, 외부에서는 내부를 전혀 볼 수 없다. 오직 빛이 벽에 닿아 투영될 때만, 그 벽은 하나의 실체로 드러나게 되어 비로소 외부에서 존재하는 대상으로 인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