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 2020

We live in coexistence with trees in Seoul. The existence and disappearance of urban trees are formed by external factors. The question of a tree’s survival is determined by the human convenience rather than the change of nature itself. Nevertheless, trees always live with us. We walk by trees everyday, almost indifferently.
The number of trees planted on streets of Seoul exceed 306,000, and they live in harsh conditions of the city. Humans do not know everything about trees, maybe there is nothing we can do about it. Following the cycle of nature may be the right decision, as unilateral aid may not has been requested.

Have you ever standing and observed the trees for a long time? To learn about trees, you need an observer's perspective. By carefully observing and learning about the trees, one is able to extend it’s relationship with the trees beyond simple visual cognition. As such Trees and humans can communicate in a natural way.

Similar to how humans are not to be classified by different species and sex, trees are also very different amongst each other. We tend to perceive in way that we feel comfortable. It is more important to recognize trees as what they are.
The beginning of a constant interest in an individual is the basic attitude we should have. This attitude becomes a small starting point for trees to form into forests.
Trees are social beings just like humans and are connected within their networks. The forests that they will form will become their community and home. Urban trees and we need forests. Urban forests start from us.

'Seoul Tree’ is a project that shares recognized trees within one’s radius of life and creates a virtual forest based on online maps. People who observe various changes of trees that surround us remember aspects about them, But it is difficult to know all the trees around them.
‘Seoul Tree’ through lets you share the trees you know and look at another tree. We hope that the virtual forest will be a true start in building a practical forest from the trees we shared.


우리는 서울이라는 도시 안에서 나무와 공존하며 살아간다. 도시 나무의 존재와 소멸은 외부 요인으로 형성된다. 생명 존속 여부는 자연 변화보다 인간 편의를 위한 행동의 영향으로 비로소 결정된다. 그럼에도 나무는 항상 우리 곁에 존재한다. 무심히 지나치는 서울의 가로수만 해도 30.6만 그루 이상이며 그들은 도심의 가혹한 조건에서 살아간다. 인간은 나무의 모든 걸 아직 알지 못하기 때문에 더욱 해줄 수 있는 것이 없다. 요청하지 않은 도움보다 자연 순환을 따르는 게 옳을 수 있다.

가만히 멈춰서 나무를 오래 바라본 적이 있는가? 나무에 대해 알아가려면 관찰자 시점이 필요하다. 천천히 나무를 바라보면 시각 인지를 벗어나 보이지 않는 시선으로 서로를 응시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나무와 인간은 자연의 방식으로 소통할 수 있다.

인간이 종과 성의 분류 속에 동일하지 않듯 나무도 제각기 다르다. 우리는 습관처럼 비슷하거나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만 받아들인다. 그보다 존재 자체로서 나무를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체에 대한 지속한 관심의 시작이야말로 우리가 가져야 할 기본 태도이다. 이와 같은 태도는 나무가 숲으로 형성되는 작은 시작점이 된다.

나무는 인간과 동일한 사회적 존재로 그들만의 네트워크로 연결돼있다. 공동체를 이룰 숲은 그들의 터전이자 삶이다. 도시 나무와 우리에게는 숲이 필요하다. 도시의 숲은 우리로부터 만들어진다.

<서울 나무>는 개인의 행동반경 안에서 인지하는 서울의 나무를 공유하고 온라인 지도 기반으로 가상의 숲을 만들어 간다. 일상 속에 자리한 나무의 다양한 변화는 수시로 관찰한 사람이 기억하기 쉽지만, 주변의 모든 나무를 알긴 어렵다. <서울 나무>를 통해 자신이 인지한 나무를 공유하고 또 다른 나무를 바라볼 수 있다. 함께 공유한 나무로 가상의 숲이 물리적인 숲으로 변화하기를 바란다.
Seoul Tree ID Structure
ID 82026-19-005

A unique 10-digit code is given to and shown with each trees. For example, is identified as 82026-19-005, which denotes the Country Code (82, Korea), Area Code (02, Seoul), District Classification Number (6, Seocho-gu, Dongjak-gu, Gwanak-gu, Geumcheon-gu), District Number (19, Dongjak-gu), and Trees Number (005, 001 to sequential).

District Classification Numbers
1 Jung-gu, Jongno-gu, Yongsan-gu
2 Mapo-gu, Seodaemun-gu, Eunpyeong-gu
3 Seongbuk-gu, Gangbuk-gu, Dobong-gu, Nowon-gu
4 Jungnang-gu, Dongdaemun-gu, Seongdong-gu, Gwangjin-gu
5 Gangdong-gu, Songpa-gu, Gangnam-gu
6 Seocho-gu, Dongjak-gu, Gwanak-gu, Geumcheon-gu
7 Yeongdeungpo-gu, Guro-gu, Yangcheon-gu, Gangseo-gu

District Numbers
01 Jung-gu
02 Jongno-gu
03 Yongsan-gu
04 Mapo-gu
05 Seodaemun-gu
06 Eunpyeong-gu
07 Seongbuk-gu
08 Gangbuk-gu
09 Dobong-gu
10 Nowon-gu
11 Jungnang-gu
12 Dongdaemun-gu
13 Seongdong-gu
14 Gwangjin-gu
15 Gangdong-gu
16 Songpa-gu
17 Gangnam-gu
18 Seocho-gu
19 Dongjak-gu
20 Gwanak-gu
21 Geumcheon-gu
22 Yeongdeungpo-gu
23 Guro-gu
24 Yangcheon-gu
25 Gangseo-gu

Trees Number
001 to Sequential

→ seoul tree